반응형

여러가지 회사들의 AI전략이 있다.

최근들어서 다들 서로가 앞다투어 AI를 내세웠다.

 

마치 20년전에 식스시그마라는 품질지표를 들고와선

자격증까지 따게 만든 기업시스템에선 꽤나 쓸만한 광팔이 재료였나보다.

 

아무튼 여러가지 기업들이 AI를 서로 외치고 있지만

우리 모두 알고 있다.

 

제대로 된 AI를 할 수 있는 기업은 삼성전자, LG전자, 네이버, 카카오 정도인것을

네이버는 하이퍼클로바x를 런칭했고 AI개발도구 Tool로 활용할 수 있게끔 만들었다.

실제적으로 요금제도 만들어서

보다 쉽게 AI를 활용해서 본인들이 필요한 것을 만들 수 있게 요금제까지 만들었고

요금 형태는 흡사 AWS와 비슷하다.

아무래도 이런 서비스들은 무료 서비스 또는 할인 크래딧이 필요하다.

개인적으로 내가 AI로 만들고 싶은 웹툰이나 짤들은

현재 Adobe로 만들려고 했는데 블로그를 쓰다보니 이걸 써도 괜찮을것 같단 생각이 들었다.

근데 좀 더 자세히 내막을 들여다 보니

얼굴 인식에 대한 것만 좀 정확할것 같고 정작 내가 필요했던

텍스트 to Image는 아직 없는듯 했다

 

그리고 무엇보다 display 자체는 AWS나 MS Azure 느낌을 지울 수가 없고

(뭐 삼성이 Apple 따라한거랑 비슷하겠지) 

Compute나 Container는 굳이 여기서 안쓰고 VMware나 AWS 또는 kubernetes 환경에서도 

충분히 활용 가능하고, Redhat을 써도 될것 같았다. 

 

AI Services에서 그래서 결국 내가 원하는걸 찾아야 하는데, CLOVA Dubbing , CLOVA Studio 등을 좀

활용할만할것 같다. 다음에는 네이버 하이퍼클로바X로 만든 무언가를 올려봐야지 

 

대충 런칭에 포커싱을 맞춘느낌을 지울 순 없다. 쓰기도 어렵고 UI도 친숙하진않다 ㅠㅠ

그래도 이게 내가 본 대한민국 AI 서비스중에선 제일 좋다.

 

근데 이번에 새로운 검색 시스템인 큐(QUE)를 런칭했다.

아직 런칭은 안해서 어떤 느낌인지 정확힌 모르겠지만...

일상 대화하는 것 처럼

 

ex) 오늘 양재역에 5명 밥 먹을건데, 30대가 좋아할만한 식당으로 좀 추천해줘 

이런식으로 물어보면 될것같다.

 

이미 공개는 됐고 공식영상도 있는데

직접 써봐야 알것같다!

https://www.youtube.com/watch?v=kbsULLoGBO8

이 영상이 아마 제일 깔끔하게 네이버 QUE에 대한 설명을 해준것 같고

https://www.youtube.com/watch?v=xhzJFzYgC4I

이건 진짜 영상 잘뽑았다 생각이 절로 들었다. 

 

여기서 이야기는 안하겠지만 24년 네이버 블로그 망했다~ 이런식으로

위기를 조장해서 본인 강의팔이하는 샐러들도 붙는거 보니 꽤나

신선하게 다가올것 같다.

 

그것도 그럴게 네이버 que같은 경우는 검색이기 때문에 하이퍼클로바x보다 훨씬

접근성이 좋을것이다. 

 

수익화 모델도 광고, 상위노출 등 충분히 유발해서 올릴 수 있다.

근데 이제 걱정되는게 que 상위 노출로 또 팔이 해먹을까봐....

아? 네이버 주식을 사야하나 싶구나.... ㅋㅋㅋㅋㅋㅋ 

 

실제로 예전에 쇼핑몰을 하나 했을때 네이버 검색 결과상위란에

노출하는데도 돈이 들고 클릭마다 돈이 드는 형태라서 힘들었는데

Que는 얼마나 더 심할진 잘 모르겠다.

 

일단 Que 사전신청은 했고! 

다음엔 하이퍼클로바X를 좀 써봐야겠다! 

반응형

+ Recent posts